온도의 상승에 따라 저항값도 커진다면 정비례(正比例 )-->(일반금속체)
온도의 상승에 따라 저항값은 반대로 작아진디면 반비례(反比例)-->(반도체) 입니다.
.
2-2 저항의 온도계수
온도가 상승하면 금속의 저항값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지만, 반도체는 급격하게 저항값이 감소한다. t1의 온도에서의 저항의 온도계수는 다음과 같다.
<!--NAMO_EQN__ 160 1 \alpha t1=\frac{\frac{R2-R1}{t2-t1}}{R1} --> [1/°C] (온도상승: t2-t1, 저항값변화:R2-R1)
위 식에서 t1[°C]에 있는 도체의 저항 R1[Ω]과 온도계수 αt1의 값을 안다면, 온도 t2[°C]에서 저항 R2의 값은
R2=R1{1 + αt1(t2-t1)} [Ω] 이 된다.
순구리의 20[°C]에서의 α20의 값이 0.00393[1/°C] 인데, 반도체나 탄소 절연체, 전해액 등은 온도가 올라가면 전도율이 커져 온도계수가 부(-)의 값을 가진다.
예제) 구리선의 저항이 20[°C]에서 10[Ω]이라면, 50[°C]일 때의 저항은 몇 인가? (단, 구리선의 20[°C]에서의 온도계수는 39.3*10-4[1/°C]임.)
풀이 : R50=R20{1 + α20(50-20)}
= 10(1 + 39.3*10-4*30)}
=11.79[Ω]
온도계수 | |
금속은 온도가 증가하면 원자의 진동이 격렬해져 전자가 이동할 때, 반도체는 전자가 풍부하지 않은 물질로 온도 증가는 | |
![]() |
그림처럼 자유전자가 많은 물질인 금속은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 정도를 저하의 온도계수라 한다. |
![]() |
반도체의 온도계수 | |
|
![]() |
반도체의 온도 계수 특성 |
Thermistor 서미스터는 Thermal + Resistor의 합성어로, 온도에 민감한 저항이다. 온도를 감지하는 장치, 기기 등에 사용된다. |